미소드림적금 및 청년희망적금 금융상품소개 및 신청방법
미소드림적금은 서민들의 경제적 자립기반과 마련들을 위해 미소금융 성실상환자 또는, 채무조정 성실상환자 중
일전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일정금액을 저축한 우 적금만기 시 은행에서 수령한 만기 이자에 상당하는 금액을
서민금융진흥원에서 추가로 지원하는 상품입니다.
미소드림적금 지원대상
미소금융 및 채무조정 성실상환자 대상이며 단 1건이라도 연체일수 1일 이상인 경우는 불가하며
중 차상위계층 이하자, 근로장려금 수급대상 및 취약계층자립자금 대상자입니다. 또 한부모가족, 조손가족,
다문화가족 가구주, 부한 이 탈주민, 등록장애인, 특별재난지역 등 거주자도 지원이 됩니다.
채무조정 성실상환자 신용회복위원회, 국민행복기금, 채무조정자 중 채무변제 계획 확정일로 부터
6개월이 경과하고, 중 차상위계층 이하자이며, 현재 거치 중이거나 완제자 또는 상기 상품으로
대환 한 분, 및 기존 미소드림적금 가입자는 제외됩니다.
미소드림적금 지원내용
자유적립식 적금이며 만기의 연장이 없는 상품이며, 가입금액은 월 최대 20만 원에서 최소 1만 원,
최초 1년 이상 최대 5년 이하 서금원(서민금융진흥원) 지원금은 3년, 50만 원 미만입니다.
적금 금리
가입기간 | 1년 | 2년 | 3년 | 4년 | 5년 |
연이율 (만기 시) |
3.6%(4.6%) | 3.8%(4.8%) | 4.0%(5.0 )% | 4.0%(5.0 %) | 4.0%(5.0 %) |
만기 시 우대금리 1% p 적용하며, 중도해지 시 취급은행별 중도해지이율을 적용하고, 미소드림적금 금리
가입기간은 1년에서 5년, 이율은 연으로 구성됩니다.
단, 적금 금리는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.
미소드림적금 신청방법
우리은행, 신한은행, 국민은행, KEB하나, 기업은행 5개 은행 영업지점 및 통합지원센터이며,
자세한 내용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방문하셔서 지원내용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미소드림적금 알아보기
청년희망적금
청년층 저축 장려와 장기적, 안정적 자산관리행태 형성을 위해 저축장려금 지원을 합니다.
사회초년생 또는 저소득 창년의 저축 장려 및 장기적 안정적 자산관리행태 형성을 통해 취약한
경제기반을 보완하고 청년의 경제적 자립 역량 제고하기 위해 만 19세 에서 34세 청년들이
일정 요건에 해당하는 자가 일정금액을 저축한 후 적금만기 시 은행 이자에 더해 서민금융진흥원에서
저축장려금을 추가 지원하고,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로 지원하는 청년희망적금 상품입니다.
지원 대상
청년적금 지원대상은 만 19세에서 34세 청년 중에서 총 급여 3,600만 원 종합소득 2,600만 원 이하인
청년들 대상입니다. (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)
다만,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조합과세 대상자는 제외입니다
청년희망적금 상품내용
청년희망적금 상품은 월 최대 납입 50만원, 2년 만기자유적립식 적금이며 은행 이자, 비과세혜택, 저축장려금이 지원
되며 납입금액에 대해 1년차 2%, 2년 차 4% 이자 혜택을 드립니다.
청년희망적금 금리
청년희망적금 금리는 최대 9.3% 상당이며, 출시은행별 상이(5%+a) 하니 확인하시고 지원하기기 바랍니다.
이자지급은 만기일시지급방식이며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로 지원합니다.
청년희망적금 바로 알아보기
글 마무리
여기까지 미소드림적금 및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저소득층에 자산형성을 위한 청년, 성실상환자 및 중차사위계층, 수급대상자를 포함하여 폭이 넓게
지원하고 있으니 사이트에 방문하셔서 지원내용 참고하시면 도움 될 것 같습니다.